우리는 커피 마실 때 주로 많이 가는 카페가 바로 스타벅스죠?
미국 출신의 카페프렌차이즈 스타벅스. 명실공이 세계 최고의 커피전문점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본토인 미국 그리고 해외에서 하나의 아이콘으로 자리잡은 스타벅스는 이제 커피뿐만 아니라 문화를 파는 공간으로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스타벅스에도 숨은 역사와 사실들이 있는데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타벅스와 연관되어 자주 언급되는 이름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하워드 슐츠라는 이름이죠?
과거 스타벅스의 ceo를 맡아 지금의 자리에 올려놓은 장본인이며 현재 명예회장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인물입니다
워낙이 이름을 많이 듣다보니 사람들은 하워드 슐츠가 스타벅스를 창립한 줄 알고있지만, 하지만 그건 사실이 아닙니다 원래 스타벅스는 제리볼드윈과 고든보커 지브 시그리라는 세 남자가 원두를 판매하는 소매점으로 1971년 오픈한 것이 시작입니다
1987년 하워드 슐츠가이를 인수해 커피전문점으로 바꾼건데요, 평범한 커피원두 가게를 세계적인 프랜차이즈로 만들려면 어떤 능력이 필요했을까요?
아마 밑바닥부터 두루 섭렵하고 최고의 자리에 올라야만 가능한게 아닐까 싶습니다 하워드 슐츠는 원래 미국의 프린터 및 복사기 기업인 제록스의 평사원 출신이었는데요 평상은 출신부터 ceo까지 일반 사람들은 하기 힘든 정말 대단한 업적이지요
스타벅스 매장에서 흘러나오는 재즈 노래 한번쯤 들어보셨을 텐데요 매장에서 흐르는 노래에 스타벅스는 꽤 신경을 많이 씁니다 커피와 맛있다고 되는게 아니고 좋은 노래와 서비스 등도 매장 재방문을 결정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였기 때문이지요 음악 맛집으로 소문난 건 절대 우연이 아닙니다 유명한 색소폰 연주자 케니지는 초창기 스타벅스의 투자자 중 한 명이었습니다 역시 재즈를 좋아하는 스타벅스나 함께 초기 투자자도 케니지였네요 한 때 스타벅스에서는 cd를 판매했는데 그 중 가장 먼저 판매된 앨범은 케니지의 앨범이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스타벅스의 음료 사이즈를 숏, 톨, 그란데, 벤티 4가지 사이즈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해외에서는이 사이즈들 말고도 아이스 음료의 제공되는 트렌타 사이즈도 있습니다
크기순으로 정리하자면 숏 폴 그란데 덴티 플랜타 사이즈겠네요
스타벅스가 다른 간판을 걸고 장사를 했다면 믿으실겁니까? 과거 미국 시애틀에서 로이스트리
커피엔티라는 이름으로 운영되던 매장은 사실 스타벅스 소유의 매장이었습니다. 이곳에서는 일반 스타벅스에서는 주문할 수 없는 치즈나 와인 맥주를 판매했으며 신메뉴가 출시되기 전 테스트 베드의 기능을 했지요 아쉽게도 고급 매장인 스타벅스 리저브가 등장하면서 매장은 사라졌습니다 원래 미국 스타벅스에는 10분 룰이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오픈 시간 10분 전에 오픈하고 다음 시간 10분 후에 마감하는 겁니다 이 시간에 가면 주문을 할 수 있지요
아쉽지만 국내에서는 주문을 할 수는 없고 고객들이 매장에서 대기를 할 수 있거나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는 정도로 10분 룰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스타벅스 직원들의 근무 후기를 검색해보면 하나같이 외워야 할 레시피가 너무 많다는 이야기를 합니다 왜 그럴까요 월스트리트저널의 인터뷰에 따르면 스타벅스에서 만들 수 있는 음료의 가짓수는 적어도 87,000개라고 합니다 이걸 다 외우려면 머리가 터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겠네요 일반적인 스타벅스 고객은 한 달에 평균 6번 정도 스타벅스를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충성고객의
경우 2배가 넘는 횟수인 16번 정도를 방문하죠
스타벅스의 로고에 있는 여자는 세이렌이라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이너입니다 처음 만들어진 스타벅스 로고에선 세이렌의 알몸이 그대로 그려져서 논쟁거리가 됐었는데요 이후에 나온 로고에선 몸을 가렸습니다. 스타벅스라는 이름은 험한 멜빌의 소설 모비딕에 등장하는 1등항에서 스타벅스 이름에서 따왔습니다 로고나 이름이나 바다랑 깊은 연관이 있네요
스타벅스 매장이 입점하면 근처에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저도 스벅매장이 입점한 건물주가 되어 보고 싶네요
그리고 주말 드라이브스루에 자전거를 타고 가면 주문을 할 수 없습니다
진상 소리를 듣고 싶지 않으면 사이렌 오더로 주문하고 픽업해 오는게 낫겠습니다.
스타벅스의 국내유통을 신세계에서 담당하고 있습니다 2022년 10월 기준 미국 스타벅스 본사에서 지분을 모두 매각하면서 국내 운영은 완전히 신세계가 담당하게 되었고 스타벅스라는 별명까지 얻었지요 어떻게 운영될지 앞으로 기대가 됩니다 그리고 편의점에서 병에 담겨서 나오는 스타벅스 음료 한번쯤 보신 적 있으실텐데요이 음료들은 메디트 드링크라고 불립니다 세계적인 음료에서 펩시에서 판권을 위임받아 제작하고 있지요 국내에서는 동서식품이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스타벅스가 라떼는 말이야 때문에 고통받은 적이 있는 것 알고 계시나요 스
타벅스는 2016년 라떼 때문에 고소를 당한 적이 있습니다 캘리포니아에 사는 두 고객이 라떼이앙의 메뉴 그림보다 25% 작다고 고소를 한 사건인데요 법원의이 사건을 무효로 판결했습니다 스타벅스가 세계적으로 유명한 커피 체인이다 보니 상상도 못한 곳에 입점해 있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미국 버지니아 랭리에 위치한 CIA 본부인데요 당연히 이곳에 보안은 철통이겠지요 재미있는 것은 다른 매장과 똑같이 음료를 주문할 수 있지만 이곳에서는 주문한 고객들 즉 CIA 요원들의 이름을 호출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신분이 노출되면 안 되기 때문이지요
여지까지 재미있는 스타벅스의 유래와 각종 이야기들을 담아봤습니다.
그럼 이제 시원한 아이스 아메리카노 한잔하러 스벅으로 가볼까봐요